【수원=뉴시스】유명식 기자 = 경기도가 부당·과다 지급 논란이 일었던 산하 공공기관의 성과급제도를 전면 손질하기로 했다.(뉴시스 9월3일 보도)
도 관계자는 "산하기관 성과급제도 개선을 위해 이르면 다음달 경기개발연구원과 공무원, 산하기관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태스크포스는 공공기관 평가 잣대와 방식, 성과급 지급 기준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특히 공공기관장에 대한 성과급 지급률을 대폭 축소한다.
현재 도 산하 공공기관 26곳의 기관장 성과급은 연봉을 기준으로 최대 33%까지 지급되고 있다.
하지만 기관장의 1인당 평균 연봉(지난해 기준)이 9886만원이고 절반 이상인 13명이 1억원 이상을 챙기는 상황이어서 성과급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도가 올해 외환위기(1998년) 이후 15년만에 감액 추경안을 편성하는 재정난에 빠지면서 성과급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셌다.
양근서(민·안산6) 도의원은 지난 3일 제281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공공기관에 지급된 성과급이 190억원에 달한다"며 "특히 기관장과 임원 150여 명이 받은 성과급이 전체 성과급의 30.5%인 58억원에 이른다"고 했다.
또 "경영평가 결과가 낙제점 수준인 C등급 이하인 기관장과 임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한 사례가 30여 건에 이른다"며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는 지난 2006년 공공기관에 대한 경영평가제를 도입한 뒤 2007년 각 기관장과 성과계약을 맺고 이듬해부터 평가 결과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재정난과 연봉 수준 등을 고려해 공공기관장 등에 대한 성과급 지급률을 대폭 낮출 방침"이라며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에서 적절한 합의점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yeuji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