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미집행도시공원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기도의회 양근서위원장,“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실효문제 대책 필요” 경기도의회 양근서위원장,“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실효문제 대책 필요” 2015-05-12 18:46[헤럴드경제=박정규(수원)기자]경기도의회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특별위원회(위원장 양근서ㆍ사진)는 12일 성남, 용인지역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시설을 방문해 추진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했다. 특별위원회는 성남시와 용인시 공무원들로부터 재원확보, 중앙정부지원, 제도개선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특별위원회는 도시공원으로 지정돼 현재까지 미집행되고 있는 시설 중 ▷국가에서 지정한 공원 ▷해제시 개발수요가 많은 공원 ▷철탑이 지나고 접근성이 떨어져 불합리하게 지정된 공원 등 사례별로 현장을 확인해 문제점을 파악했다. 현재 경기도에 도시계획결정된 공원은 5884개소 총면적 2만2723㏊로 이중 미조성율은 면적기준 68.7%에 .. 더보기 양근서의원 “미집행공원 중 국공유지, 정부에서 책임져라” 홈 > 뉴스 > 공원 | 중앙정부 “미집행공원 중 국공유지, 정부에서 책임져라” 전체 30% 차지…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공감’ 녹지세 신설·정부차원 컨트롤타워 구성 의견도 조성계획 수립 못한 공원, 올 10월부터 ‘실효’ [353호] 2015년 06월 23일 (화) 15:26:15 배석희 기자 bsh4184@latimes.kr 이노근 의원 주최 ‘미집행도시공원 해법은 없는가’ 토론회 ▲ 이노근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사)한국조경학회가 주관한 ‘미집행도시공원 해법은 없는가?’ 세미나가 지난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2020년 7월. 앞으로 5년 후에는 도시계획시설(도시공원)로 지정된 지 20년이 지난 미집행공원은 실효된다. 이른바 공원일몰제가 시작되는 것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공원지정 후 10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