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서민들을 위한 임대주택을 변전소 인근 등 도심 자투리땅에 공급하려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양근서(민·안산6)의원은 14일 도 도시주택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양 의원에 따르면 도는 안양시 명학역 인근의 공장 밀집지역 1천134㎡(343평) 도유지에 가구당 전용면적 30㎡이내의 원룸형 임대주택 28가구를 공급하는 등 동두천, 화성, 용인 죽전 등 도유지에 임대주택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는 직장과 주거가 근접한 도심내 유휴 도유지에 저렴한 임대료의 소규모 임대주택을 공급해 서민과 대학생, 독신 직장인들의 주거안정을 돕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임대주택이 들어설 안양 부지는 전력관로가 지하를 관통하고, 안양변전소가 바로 옆에 위치해 고압 전류에서 발행하는 전자파 등으로 인한 입주자들의 건강 위해성 논란 등이 우려된다.
더욱이 주거용지로 선호도가 높아 대학생 기숙사 건설 등이 제안된 용인 죽전 도유지 2천642㎡는 53억 원 가량에 민간 매각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도는 안양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국내 기준치에 미달할 뿐만 아니라 변전소를 옥내화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양 의원은 “도유지 활용 임대주택 추진 계획은 서민들에게 도심내 저렴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려는 취지”라며 “도심내 도유지 중 주거지로 좋은 땅은 민간에 매각하고, 정작 주거지로는 적절하지 않은 자투리땅을 활용하려는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서민들을 변전소 인근 등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역으로 내모는 것이 ‘김문수표 행복주택 정책’”이라며 “도심내 주거지로서 좋은 환경의 입지에 서민과 대학생, 1인 직장인 등의 임대주택이 들어설 수 있도록 도심 도유지 활용방안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경기도시공사는 “변전소가 있어 환경이 열악하다는 내용은 한전이 당초 변전소 부지를 공원화하고 그 일부 부지에 새로운 건물을 지어 변전소 시설을 그 건물 내에 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기호일보(http://www.kihoilbo.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