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시스】유명식 기자 = 경기도가 전시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민원전철365' 사업을 3년여 만에 폐지하기로 한 가운데 원상복구비만 1억원 넘게 낭비될 것으로 보인다.
도는 내년도 예산안에 민원전철 복구비 1억1000만원을 반영한 것으로 17일 확인됐다.
복구비는 애초 사업을 추진하면서 코레일과 맺은 협약에 따른 것이다. 도는 협약에서 민원전철로 쓰인 전동차 1량을 인버터(VVF) 제어 방식으로 복구해주기로 약속했다.
앞서 도는 지난 2010년 11월 민원전철 운행을 위해 서동탄~성북을 운행하는 1호선 전동차의 중간차량 1량의 좌석 54석 가운데 41석을 철거한 뒤 수유실, 일자리상담실, 급수대, 양심도서 코너 등을 마련했다.
무인민원발급기 1대와 DVD 플레이어, 모니터 4대, 노트북 2대, 태블릿PC 2대 등도 설치했다.
하지만 내년부터 민원전철 운행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이 물품들은 애물단지로 전락할 판이다.
도는 필요한 부서에 일부를 넘겨 사용토록 한다는 계획이나 복구비 등은 고스란히 날리게 됐다.
전철 안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민원전철은 그동안 독특한 아이디어에도 불구하고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실적 대부분이 행정과 관련이 없는 건강상담, 농특·산물 홍보판매 등이었기 때문이다.
양근서(민·안산6) 도의원은 "지난 1~7월에도 1만5672건의 실적 가운데 50%(8020건)가 혈압검사 등 건강상담이었다"며 "연간 3억원 가량을 코레일에 전철 사용료로 내고 1억원이 넘는 인건비가 투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효율적인 사업이 아니다"고 했다.
도 관계자는 "재정난에다 전시성 사업이라는 지적이 있어 폐지하기로 했다"며 "복구비는 민원전철 운행 중단에 따라 도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라고 말했다.
yeujin@newsis.com
언론보도
'애물단지' 민원전철…원상복구비만 1억
불휘기픈나무
2014. 1. 23. 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