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활동

경기도의회 양근서의원 "관상용 정원탈피 시급"

불휘기픈나무 2012. 12. 3. 14:55

경기도의회 양근서 의원, “관상용 정원 탈피 시급‘

도심공원, 막대한 관리비용과 달리 탄소저감 효과 등은 미미


(수원=뉴스1) 송용환 기자= 막대한 유지관리비용이 들어가는 반면 탄소저감 효과와 시민 활용도가 낮은 ‘관상용 정원식 공원’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25일 경기도의회 양근서(민·안산6) 의원에 따르면 도내 도시공원 면적은 2812개소 8902만5999㎡(6월 말 기준)이며, 2020년까지 조성될 지역은 2919개소 1억3430만3000㎡에 달한다.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역사, 문화, 체육, 수변, 묘지공원 등으로 분류되는 이들 도시공원의 올해 유지관리비는 720억원에 달하며 주로 잔디깎기 및 공원시설관리 등에 사용되고 있다.


도내 도시공원의 1000㎡당 관리비는 80만원 수준이고 단위면적당 관리비는 군포(360만원), 고양(300만원), 안양(254만원), 광주(235만원), 안성(231만원) 순이다.


가평군과 연천군은 1000㎡당 4만원대, 과천시·여주군 8만원 등 10~20만원대 지역은 주로 북부지역에 집중돼 있다.


고양시의 경우 올해 도시공원 관리비로만 174억원을 쏟아 부었으며 수원·안산·부천도 각각 100억원, 70억원, 60억원 이상을 사용해 주로 대도시에서 공원 유지에 따른 재정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막대한 관리비용과 달리 도시공의 단위면적당 탄소저장량은 산림의 저장량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나무는 밀도가 낮게 듬성듬성 심고 식재면적이 넓은 잔디 위주의 조성 방식, 포장도로를 비롯한 시설면적이 많은 것 등이 주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관상용 정원’에서 탈피해 탄소흡수율이 높을 뿐 아니라 취사, 야영 등 도심 속 자연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테마와 기능에 따라 숲 중심의 여러 유형별 ‘자연생태공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양 의원은 “우리의 도시공원 조성방식은 대부분 관상용 분재를 가꾸는 듯한 일본식 정원문화의 영향에서 못 벗어나 고비용 저산소 공원에 머물러 있다”며 “하루빨리 숲이 우거져 시민들이 쾌적하게 즐길 수 있도록 자연생태공원으로 조성하고 공원 내 취사가 가능한 피크닉장 등을 지정하는 등 도시공원 조성계획 전면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yh@